1. 강원대학교, "한국의 호수 환경생태", 2013.
2. I. D. Jones, T. Page, J. A. Elliott, S. J. Thackeray, and A. L. Heathwaite, “Increases in lake phytoplankton biomass caused by future climate-driven changes to seasonal river flow”,
Global Change Biology,
2011, 17, 1809-1820.
3. 최길용, 임태효, 이재운, 천세억, "통계분석을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수질변화 특성 조사", 한국수자원학회, 2012, 45(11), 1157-1168
4. 최선화, 김해도, 김동환,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인공호수의 수질 특성 평가", 한국관개배수논문집, 2014, 21(2), 87-100
5. 박지형, 손수민, 류덕희, "경험식과 요인분석을 통한 오염물질 유출 특성 연구-남한강 상 · 하류 수계 주요 하천을 중심으로", 한국물환경학회, 2011, 27(6), 905-913
6. 박진환, 문명진, 이형진, 김갑순, "다변량 분석법을 이용한 섬진강 수계의 수질 특성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014, 30(2), 119-127
7. 곽보라, 김일규, "통계분석을 이용한 낙동강 창녕함안보구간의 수질특성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016, 38(2), 71-78
8. 송은숙, 전송미, 이어진, 박도진, 신용식, "통계적 경향 분석을 통한 영산강의 클로로필 a와 수질 변동 해석", 한국하천호수학회, 2012, 45(3), 302-313
9. 정수정, 이동진, 황경섭, 이경희, 최경축, 임상순, 이윤희, 이재영, 임병진, "영산강 수계 오염특성 파악을 위한 다변량 통계분석법의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 2012, 45(4), 368-377
10. B. Karim, and F. M. Taha,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monitor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water quality”,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03, 100 (1-3), 179-195.
11. C. A. Shah, Z. A. Ahmad, K. Y. Mohd, F. R. Mohammad, and J. Hafizan, “Classification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2015, 30, 79-84.
12. B. Ahmed, E. B. Mohamed, R. Jamila, A. Brahim, and S. Mohamed, “Assessment of spatial and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 of Oum Er Rbia River(Morocco)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International Soil and Water conservation Research,
2016, 4, 284-292.
13.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2018 상수도 현황", 2018.
14.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2018.
15. E. M. Thurman, "Organic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 Kluwer Academic Publisher", 1985.
16. 김재구, 신명선, 장창원, 정성민, 김범철, "한강수계 주요하천과 호수내 TOC와 DOC분포 및BOD와 COD의 산화율 비교", 한국물환경학회, 2007, 23(1), 72-80
17. 한강수질검사소, "한강수계 용존유기물 특성에 관한 연구", 2000.
18. Y. H. Smith, “Predictive models for the biomass of blue green algae in lake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985, 21 (3), 433-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