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IARC),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humans, In: Formaldehyde", 2006, Vol. 88
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door Air Quality (IAQ), 2007.
3. 국립환경과학원, 국가우선순위물질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I), 2011.
5. W. D. Kerns, K. L. Pavkov, D. J. Donofrio, E. J. Gralla, and J. A. Swenberg, “Carcinogenicity of formaldehyde in rats and mice after long-term inhalation exposure”,
Cancer research,
1983, 43, 4382-4392.
6. 태현 박, 광래 김, 승미 권, 수미 어, 진호 신, 권 정, 명희 권, and 철민 이, “서울시 내 민감계층 이용시설에서 오염물질의 분포특성”,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2017, 16 (4), 345-355.
7. 지희 안, 유진 오, 지영 임, 문섭 안, 은주 홍, and 부순 손, “보육 시설, 산후조리원의 실내공기질 농도 및 위해성 평가”,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2018, 17 (4), 337-345.
8. 환경부, 한국노출계수핸드북, 2007.
9. 국립환경과학원, 어린이노출계수핸드북, 2016.
10.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2021.
11.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2022.
12. 미선 양, 윤진 이, 동훈 김, 숙인 조, 근진 김, 자연 구, 미애 오, and 문정 김, 2021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 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2021.
13. 인철 류,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특성 및 건강위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 부경대학교, 2010.
14. 환경부, 위해성기준 설정방안 연구(최종보고서),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