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동진, 윤정기, 유지영, 김수정, 양재의, “우리나라 골프장의 농약사용 실태 및 관리방안”,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4, 57 (3), 267-277.
2. T. Gunstone, T. Cornelisse, K. Klein, A. Dubey, and N. Donley, “Pesticides and Soil Invertebrates: A Hazard Assessment”,
Frontiers in Environmental Science,
2021, 9, 643847.
3. 노현호, 이광헌, 이재윤, 박효경, 이은영, 홍수명, 박영순, 경기성, “시설재배 토양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모니터링 및 지하수 용탈 가능성”, 농약과학회지, 2011, 15 (4), 441-452.
4. 박나리, 강대호, 전준호, “낙동강 중하류에서의 미량오염물질 출현 및 농도”,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2021, 24 (1), 1-12.
5. 현해남, 장공만, 오상실, 정종배, “Groundwater Ubiquity Score를 이용한 제주도 토양 특성별 농약의 지하수 오염가능성 평가”, 농약과학회지, 2007, 11 (3), 144-153.
6. 오상실, 현해남, 문두길, 정종배, “제주도 감귤원 토양에서 GUS, RF, AF 지수를 이용한 농약의 용탈잠재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002, 21 (1), 7-16.
7. 현익현, 양철신, 김태헌, 김수미, 오상실, “한지형 잔디로 조성된 골프장에서 농약사용패턴분석”,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보, 2005, 16, 87-105.
8.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 제주지역 골프장의 농약 · 비료 사용 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 2008.
11. D. I. Gustafson, “Groundwater ubiquity score: A simple method for assessing pesticide leachability”,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989, 8, 339-357.
12. 김찬섭, 이희동, 임양빈, 김정한, 임건재, 오병렬, “국내등록농약의 용탈 가능성 평가”, 농약과학회지, 2006, 10 (4), 272-278.
13. K.E. Hall, C. Ray, S.J. Ki, K.A. Spokas, and W.C. Koskinen, “Pesticide sorption and leaching potential on three Hawaiian soil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5, 159, 227-234.
15. 우승순, 방명렬, 윤경애, 박정희, 김영진, 박상균, “골프장의 농약 사용실태 및 잔류량 조사”, 지하수토양환경, 1997, 2 (1), 13-20.
16. 우현녕, 김기림, 김혜진, 정덕영, “골프장의 난지형 잔디에 발생하는 Large patch의 발병 특성”, 농업과학연구, 2011, 38 (2), 243-248.
17. 전경용, 양철신, 안효민, 김길성, 김수미, 이도승, 부경환, 류기중, “제주지역 골프장 농약 저감을 위한 친환경 잔디관리 대책”, 제주특별자치도 환경자원연구원보, 2008, 1, 84-93.
18. 오상실, 송상택, 현익현, 송영철, 조인숙, 강영삼, “골프 코스에서 농약 및 질소, 인의 용탈”, 보건환경연구원보, 2001, 12, 75-86.
19. 유병로, 정경희, “골프장 그린 토양에서 Metalaxyl의 흡 · 탈착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2002, 11 (3), 227-234.
20. 양철신, 김길성, 김수미, 임용철, “골프장 활성탄 혼합토층의 농약잔류 및 분해 특성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환경자원연구원보, 2009, 2, 59-75.
21. J. R. Fleeker, H. M. Lacy, I. R. Schultz, and E.C. Houkom, “Persistance and Metabolism of Thiophanate-methyl in Soi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1974, 22 (4), 592-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