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모 양, 무준 심, 다연 오, 종범 간, 준배 이, 선화 홍, 수형 이, and 상진 박, “금강에서 보 설치 후 퇴적물 중금속 분포”, 한국환경농학회지, 2015, 34, 32-36.
2. 윤모 양, 다연 오, 대현 김, 대희 이, 기범 길, 윤해 조, 혜리 이, 세억 천, and 민희 채, “금강수계 보구간 표층퇴적물 오염도 평가”, 한국환경분석학회지, 2018, 21 (3), 125-138.
3. 윤모 양, 민희 채, 대희 이, 기범 길, 도형 김, 윤해 조, and 세억 천, “갑천 표층 퇴적물의 금속류 분포 및 오염도 평가”, 한국환경분석학회지, 2019, 22 (2), 50-60.
4. 도희 김, “수 저층의 저질 조사 (I)”,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007, 13 (1), 93-102.
5. 준기 이, and 태윤 이, “하천퇴적물의 오염도 분석 및 퇴적물 항목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지, 2009, 342-347.
6. 익재 김, 상일 황, and 호정 김, “하천·호소 퇴적물 관리방안 및 준설물질 활용방안”, 201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 (환경부고시 재 2018-102호)”, 2018.
9.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 퇴적물(환경부고시 제 2012-99호)”, 2011.
12. 병석 갈, 재범 박, 상훈 김, and 태효 임, “통합수질지수를 이용한 지류지천 수질평가”, 한국습지학회지, 2017, 19 (3), 311-317.
13. 국립환경과학원,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도 평가 기준(예규 제 2015-687호”, 2015.
14. Ontario, “Guidelines for Identifying, Assessing and Managing Contaminated Sediment in Ontario”,
www.ontario.ca,
2018
15. L. Wang, J. Xia, L. Yang, C. Zhan, and H. Lu, “pollution assessment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major nutrients in surface sediments of Nansi lake, China”,
Spatial variation Water,
2017, 9 (444), 1-12.
16. 보미 이, 기선 성, 국회 김, 권영 문, 명철 신, 정기 홍, 갑순 김, 순주 유, 인애 허, and 혜란 노, “북한강 수계 호소퇴적물 오염도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019, 35 (2), 105-114.
17. 성욱 최, and 혜득 배, “갑천의 웅덩이-여울 연속구조에서 하상토의 입도 및 이동 특성”, 한국수자원학회지, 2011, 44 (1), 65-72.
18. 광국 안, “갑천 중심의 지방하천 수생태계 훼손실태 진단 및 생태복원 방안”, 2017, 대전녹색환경지원센터.
19. 소영 박, 용민 이, 한삼 윤, and 기준 성, “습지토양 및 연안퇴적물의 유기물질 및 영양물질 보유특성”, 한국습지학회지, 2012, 14 (2), 265-275.
20. 형석 오, 원식 신, 준하 김, 인성 황, 진 허, 현상 신, 정은 오, 인애 허, and 영훈 김, “하천 및 호소 퇴적물 입도분석 방식의 비교와 입도에 따른 중금속물질의 분포경향”, 한국지반환경공학회지, 2010, 11 (5), 15-23.
21. J. A. Udden, “Mechanical composition of clastic sediment”,
Bulley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14, 25 (1), 655-744.
22. C. K. Wentworth,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The joumal of geology,
1922, 30 (5), 377-392.
23. 인배 주; "하천 유사의 퇴적물 저감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1991.
24. 형석 오, 원식 신, 준하 김, 인성 황, 진 허, 현상 신, 정은 오, 인애 허, and 영훈 김, “하천 및 호소 퇴적물 입도분석 방식의 비교와 입도에 따른 중금속물질의 분포경향”, 한국지반환경공학회지, 2010, 11 (5), 15-23.
25. G. K. Nurnberg, “Prediction of Phosphorus Release Rates from Total and Reductant-Soluble Phosphorus in Anoxic Lake Sediment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1988, 45 (3), 453-462.
26. 대철 조, 은미 이, 병기 박, and 성현 권, “퇴적물의 영양염류 용출과 호기적 조건과의 상관성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2011, 20 (7), 845-855.
27. M. Fuji, O. Miki, and H. Kamori, “Study on high efficient removal of COD, N and P of sewage evaluation of ORP controller activated sludge treatment pilot plant”, Journal of Japan sewage works association, 1993, 30 (364), 96-107.
28. 찬호 정, and 병진 문, “대전지역 도심하천의 수리화학적 및 동위원소적 특성”, 자원환경지질지, 2009, 42 (4), 315-333.
29. 흥수 이, 진 허, 선아 정, 순진 황, and 재기 신, “도시하천(갑천) 유역에서 수질오염의 공간적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006, 22 (5), 943-951.
30. R.G. Wetzel, and G. E. Likens, “Limnological Analyses”, 1991, 2nd edition. 15-33. Spring-Verlag New York, Inc., USA.
31. 유리 김; "갑천 고무보 위치 변동에 따른 하상변화 및 유동의 수리학적 해석", 충남대학교, 2008.
33. 연연 주, and 봉수 임, “차집관로와 하수처리시설의 설치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질변화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014, 36 (12), 813-820.
34. 인석 서, 연권 김, 홍석 김, and 지연 김, “MBR 및 A2 / O 공정에서 수온이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처리학회지, 2011, 19 (4), 49-56.
35. 유호 장, “갑천 상류부의 수질오염 우려구간 수질특성 및 수질관리방안”, 한국물환경학회지, 2019, 35 (5), 399-408.
37. 성표 김, 윤철 조, and 동일 정, “갑천 내 수질 악화 구간 정밀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018,
금강수계관리위원회.
38. 재근 이, “갑천유역의 배출부하량 적정화 방안”, 2016, 대전세종연구원.
39. 숙경 정, 상수 안, 재철 이, 연희 김, 강수 박, 종태 박, and 동수 김, “유해물질 : 광주광역시 도심 하천 퇴적물의 특성”, 한 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2006, (0), 103-107.
40. 봉수 임, 희동 박, 유정 최, and 수현 오, “갑천 하류부에서 퇴적물의 오염실태조사”, 대전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2, 13 (1), 57-63.
41. 자윤 오, “관평천 하천복원사업에 따른 어류 종 조성 변화 및 생태 건강도 평가”, 충남대학교, 2017.
42. A. J. Horowitz, “A Primer on sediment-trace element chemistry”,
1991, 2nd edition. 136. Chelsea, Lewis Publishers, USGS.
43. 준기 이, 석구 김, 재홍 송, and 태윤 이, “부산시 하천퇴적물의 유기 오염도 평가”, 한환경공학회지, 2009, 31 (11), 975-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