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양수산부, 위험유해물질(HNS, Hazardous & Noxious Substance) 해양유출사고 신속대응기술개발 및 대응체제 구축 기획연구, 2014.
2. 해양환경관리공단, 위험유해물질(HNS) 방제대응체계 구축방안 연구, 2013.
3. 형민 조, 제완 류, 남균 김, and 희경 박, “매뉴얼 모델링 및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통한 해상 HNS 유출사고 초동대응체계 개선 방안 평가”, 한국방재학회지, 2017, 17, 357-365.
4. 덕재 이, 원표 홍, 진욱 권, and 창근 송, “항만 위험 ·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2018, 18, 333-340.
5. 광수 김, and 문진 이, “해상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국내 교육 훈련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017, 23, 847-857.
6. 민재 하, 하용 장, 태형 김, 종휘 윤, 문진 이, and 은방 이, “집중도 지수를 활용한 HNS 사고 대비 우선지역 선정”, 한국항해항만학회지, 2017, 41, 437-444.
7. 영윤 김, 태원 김, 민호 손, 상우 오, and 문진 이, “해상 위험 · 유해물질(HNS) 관리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해양 환경안전학회지, 2015, 21, 672-678.
8. 국립환경과학원, "화학 사고대비물질 현장탐지 및 시험 분석방법 개발", 2011.
9. 환경부, "휘발성 유해 화학 물질 정성 · 정량 분석을 위한 휴대용 GC/MS 개발(통합)", 2010.
10. 국립환경과학원, "국내 화학사고 사건원인물질 현장 탐지 · 분석 기술 연구", 2012.
11. 국립환경과학원, "화학테러 피해유형 및 대응방안 연구", 2006.
12. 화학물질안전원, "소방방재요원 화학재난 대응과정", 2014.
13. 환경부, "화학물질 탐지장비 편람", 2005.
14. 성용 안, 정민 김, 성범 김, 광수 천, 진선 이, and 춘화 박, “화학사고 초기대응자를 위한 검지관식 탐지장비의 반응성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지, 2014, 10, 33-39.
15. 환경부, "화학사고 · 테러 대응장비 사용자 운영매뉴얼", 2016.
16. 화학물질안전원, "화학사고 · 테러 대응장비 사용자 운영 매뉴얼", 2015.
17. 혜란 노, 진선 이, 정민 김, 기준 김, and 광설 석, “사고대비물질 현장 탐지 ·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분석학회지, 2012, 15, 27-34.
18. 연신 박, 혜란 노, 희선 양, and 광설 석, “휴대용 GC/MS 성능 검사 및 분석방법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지, 2013, 9, 249-258.
19. 성범 김, 혜란 노, 진선 이, 정민 김, 문식 조, 춘화 박, 광수 전, 승영 안, and 광설 석, “사건현장의 고체상 화학물질 현장 분석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지, 2012, 8, 304-309.
20. 기준 김, 진선 이, 수영 이, 승률 황, 영희 김, and 광설 석, “실험실 GC-MS를 이용한 사고대비물질 분석방법 연구”, 한국분석과학회지, 2013, 26, 80-85.
21. 환경부, "사고대비물질 표준작업절차서",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