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우리나라의 환경시험 · 검사기관에 대한 정도관리는「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이하 환경시험·검사법」[
1]과 국립환경과학원의 고시인「환경시험·검사기관 정도관리 운영등에 관한 규정, 이하 정도관리 고시」[
2]에 근거하여 실시하고 있다. 시험 · 검사기관에 대한 정도관리는 국제규격인 ISO 17043 [
3]과 ISO/IEC 17025 [
4]에 근거를 두고 있다. 각국에서 시험·검사기관에 대한 정도관리 업무를 보면 미국은 NELAP [
5]의 주관으로 숙련도 시험은 6개월, 현장평가는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캐나다는 CALA [
6]에서 숙련도 시험은 1년, 현장평가는 2년주기로 실시하며, 영국은 UKAS [
7]의 주관으로 숙련도 시험 1년, 현장평가는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환경시험·검사법과 국립환경과학원의 정도관리 고시에서 규정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고 있다. 정도관리 대상기관은 2023년 말을 기준으로 매년 1,450여개 환경시험·검사기관에 대한 숙련도 시험과 현장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장평가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보완사항에 대해서는 매년 하반기에 고시개정에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정도관리 평가과정에서 지적된 운영 및 기술분야의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2. 연구 방법
정도관리 고시에서 정하고 있는 평가분야는 운영 및 기술분야를 포함하여 각 환경매질 분야인 대기, 수질, 먹는 물, 폐기물, 토양, 실내공기질, 악취,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환경유해인자 등 총 10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 및 기술분야 평가는 전체 96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영요건 평가와 기술요건 평가로 분리되어 있다. 경영요건은 조직, 품질시스템, 문서관리, 시험 의뢰 및 계약시의 검토, 시험의 위탁, 서비스 및 물품구매, 고객에 대한 서비스 및 불만사항, 부적합 업무관리 및 보완조치, 기록관리, 내부정도관리 등 10개 분야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술요건은 직원, 시설 및 환경조건, 시험방법, 시험장비 및 표준물질, 시료채취, 시료관리, 시험결과의 보증, 결과보고, 시험결과성적서의 리스크 관리 등 9개 분야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영 및 기술분야에 대하여 현장평가 평가위원들이 지적한 내용에 대한 미흡률을 분석하였다. 미흡률 계산은 당해연도에 전체 현장평가 대상기관의 수를 기준으로 하여 지적 받은 기관수로 나눈값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예를 들어 현장평가표의 A항목에 대한 평가대상기관이 100개이고, A항목에 대해 지적받은 기관이 1개이면 미흡률은 1%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나타내었으며, 식은 아래와 같다.
미흡률(%) = [(“A”평가항목에 대해 지적받은 기관수)/(“A”항목에 대한 평가대상 기관수)] × 100 [
8]
3. 결과 및 고찰
3.1. 분야별 미흡률 분석
3.1.1. 경영요건
경영요건 분야에서는 세부 평가항의 개수가 7개 이상이 되는 조직, 품질시스템, 문서관리, 기록관리에 대한 미흡률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술요건 분야에서는 실질적으로 시험실의 운영과 관련된 기술분야의 평가임을 고려하여 세부 평가항의 개수가 5개 이상이 되는 직원, 시설 및 환경조건, 시험방법, 시험장비 및 표준물질, 시험성적서의 리스크 관리에 대한 미흡률을 분석하였다.
3.1.1.1. 조직
조직 평가항은 전체 9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검사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기술인력, 품질책임자, 기술책임자의 업무분장과 책임과 권한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을 보면 시험담당자, 정도관리 담당직원, 기술책임자 및 품질책임자 등 시험·검사 업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직원의 책임·권한에 대한 업무 분장의 적절성 여부가 44%, 임시 또는 이동시설에 대한 정도관리 규정은 있으며,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는지 여부가 36%, 시험담당자, 정도관리 담당직원, 기술책임자 및 품질책임자 등 시험·검사 업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직원의 책임·권한·상호관계에 대한 업무분장의 유무가 15%로 나타났다. 또한, 임명된 품질·기술 책임자의 적격성 여부와 해당기관이 모조직의 일부인 경우, 시험·검사 활동에 참여 또는 영향을 미치는 모조직 내 주요 직원의 책임사항에 대한 규정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미흡률도 각각 15%와 4%로 나타났다.
3.1.1.2. 품질시스템
품질시스템은 전체 9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검사기관에서 시험분석결과에 대한 품질관리를 위한 조치들을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을 보면 품질문서에 대한 직원의 충분한 이해 여부가 47%, 예상치 못한 업무량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38%, 품질문서를 규정대로 실행하고 기록을 보유하는지의 여부가 28%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문서들의 체계를 규정하고, 품질문서를 관리하는 절차 수립 및 유지 여부와 품질문서들이 최고경영자의 권한 하에 발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미흡률도 각각 22%와 12%로 나타났다.
3.1.1.3. 문서관리
문서관리 분야 평가는 전체 9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검사기관의 품질문서 유지관리를 적절히 수행하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을 보면 품질시스템 문서는 발행일자, 개정번호, 페이지 번호 매김, 총 페이지 수 및 발행기관 (발행인) 등의 표시 여부가 23%, 전자 문서에 대한 변경 및 통제절차의 수립 및 실행 여부가 22%, 문서의 기존내용과 변경내용의 식별이 적절한지에 대한 지적이 20%로 나타났다. 또한, 문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주기적 검토의 명문화 및 적절성 여부와 문서의 제·개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관리대장 또는 유사한 문서관리 절차의 보유 여부에 대한 미흡률도 각각 19%와 18%로 나타났다.
3.1.1.4. 기록관리
기록관리는 전체 7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검사결과의 시험검사기관에서 생산하는 기록물에 대한 작성, 유지 및 관리, 수정, 폐기등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을 보면 전자기록을 포함한 기록 보안 절차의 적절성 여부가 20%, 컴퓨터의 원본 데이터의 손실 방지 및 변경 방지 조치 확립 여부가 18%, 기록 수정 방법의 적절성 및 수정인의 서명 여부도 15%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기록을 포함한 기록 보안 절차의 수립 여부와 품질기록 및 기술기록의 보유·확인·수집·색인·접근·분류·보관·유지 및 폐기 등에 대한 절차를 수립 및 이행 여부에 대한 미흡률도 각각 12%와 10%로 나타났다. 시험·검사기관에서 시험검사 기록에 대한 유지관리와 관련된 규정은「환경분야 시험·검사 업무처리 규정」[
9]에서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다.
3.1.2. 기술요건
3.1.2.1 직원
직원 평가항은 전체 8개의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검사기관의 기술인력들에 대한 능력 평가, 자체 숙련도 시험, 교육 및 훈련방침, 업무량에 대한 적절한 관리여부를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을 보면 신규인력, 시험 항목이 변경된 인력 등의 능력 평가를 위한 평가 내용·절차·판정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이행여부가 34%, 자체 숙련도 시험 실시에 대한 방침·절차·평가기준의 수립 및 실행 여부가 31%, 직원수 대비 과도한 업무량에 대한 방침 및 실행 여부가 29%로 나타났다. 또한, 직원 교육, 훈련 및 기술에 대한 방침 및 계획 수립 등의 보유 및 실행 여부와 표준물질(용액) 등의 시험을 통한 정밀도 및 정확도 확인 계획 수립 및 시행 여부도 각각 23%와 17%로 나타났다. 아울러, 환경분야 공정시험기준에서는 정기적으로 내부 정도관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3.1.2.2. 시설 및 환경조건
시설 및 환경조건은 전체 7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험실의 환경조건 및 시험실 유지·관리의 적절성, 시험과정에서 필요한 시약 보관의 적절성, 시험 후 폐기물의 처리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은 청결 유지 등 시험실 관리의 적절성이 31%, 교차오염(cross contamination) 등의 방지를 위한 조치가 30%,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험실 시설, 환경조건 및 관리방안 등의 기술적 요구사항들의 문서화 및 적절성이 22%의 미흡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접수, 시료보관, 시약보관, 폐기물처리 및 보관, 시험ㆍ검사결과처리 및 보관 등에 필요한 작업공간 보유 여부와 해당 시험실 이외의 장소에서 시료 채취, 현장분석 등의 시험업무가 이루어질 경우에 대한 문서화 및 실행의 적절성에 대한 미흡률도 각각 16%와 14%로 나타났다.
3.1.2.3.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전체 7개의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분석기관의 시험실에서 시험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적절성을 평가하는 분야이다. 세부적으로는 시험분석 장비의 신규도입 시 그 장비에 대한 운영능력의 적절성, 기술인력에 대한 정기적인 시헙방법의 운영능력 평가와 평가기준의 적절성을 평가하는지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하고 있다. 주요 평가항에 대한 미흡률은 인력 변경 시 사전 시험방법 운영 능력 확인 절차·평가기준 등에 대한 규정 수립의 적절성 여부가 33%, 장비, 시설 변경 시 시험방법 운영 능력 확인절차·평가기준 등에 대한 규정 수립의 적절성 여부가 33%로 나타났다. 또한, 앞서 지적한 내용들이 실질적으로 품질문서 또는 기술문서에 기록되고 있는지에 대한 미흡률도 8%로 나타났다.
3.1.2.4. 시험장비 및 표준물질
시험장비 및 표준물질 평가분야는 전체 6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검사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험분석장비의 적절한 보유 여부, 장비의 정기적인 점검, 교정계획의 수립, 실제 이행여부 및 라벨 부착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평가항에 대한 미흡률을 보면 장비관리대장(기기의 오작동·고장·수리 및 교정에 관한 기록) 보유 및 장비점검 및 결함 장비에 대한 관리 절차의 적절성 여부가 34%, 표준물질의 안전한 취급·운반·보관 및 사용 등에 대한 관리절차를 수립 및 이행여부가 27%, 시험장비 중 교정 대상 장비에 대한 라벨 부착 및 주기적 교정계획 수립 및 이행 여부가 26%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정 장비에 대한 라벨 부착 및 관리기록의 적절성에 대한 미흡률도 13%로 나타났다.
3.1.2.5. 시료관리
시료관리는 전체 5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료의 운송, 보관, 폐기에 대한 절차, 시료접수, 시료 보관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평가항에 대한 미흡률 보면 시료 식별에 필요한 시료확인 체계 보유 및 시료접수대장의 적정성 여부가 23%, 시료접수 기록부의 적정성 여부가 13%, 시료의 운송·수령·취급·보호·보관·보류 및 폐기에 관한 절차의 보유 및 이행여부가 11%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방법에서 명시된 형상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경우의 부적합한 시료에 대한 방침 보유 및 이행 기록 여부와 시료가 특정 환경 조건하에서 보관되어야 하는 경우, 그 이행여부에 대한 미흡률도 각각 8%와 7%로 나타났다. 아울러, 시료의 관리와 관련된 내용은 개별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총칙에서 기술하고 있다.
3.1.2.6. 시험성적서의 리스크 관리
시험성적서의 리스크 관리 평가분야는 전체 5개의 세부 평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검사기관의 장비 및 기술인력의 확보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업무량이 과다하지 않고 적절한지에 대하여 평가하는 분야이다. 주요 평가항에 대한 미흡률을 보면 시험·검사기관의 기술인력과 장비를 고려한 1일 측정 및 분석업무량의 점검기록 여부가 48%, 매질별 주요시약 구매 실적, 사용량과 성적서 발급건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건수가 발급되었는지 여부가 22%, 해당 지자체에 통보한 측정대행 계약사실 통보서에 근거해 측정 및 분석 업무량이 적정한지 여부도 13%로 나타났다.
4. 고찰 및 결 론
2021년부터 2023년도 까지 실시한 현장평가의 운영 및 기술분야의 지적사항에 대한 미흡률을 분석하였다. 경영 요건에서는 조직, 품질시스템, 문서관리, 기록관리에 대한 미흡률을 분석하였고, 기술요건에서는 직원, 시설 및 환경조건, 시험방법, 시험장비 및 표준물질. 시료관리, 시험성적서의 리스크 관리에 대한 미흡률을 분석하였다. 경영요건의 지적사항에 대한 전체적인 미흡률의 범위는 4~44%였으며, 기술요건의 지적사항에 대한 전체적인 미흡률의 범위는 7~48%로 나타났다. 공공 또는 민간분야 시험·검사기관에서 미흡률을 재고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관렵법령, 고시, 공정시험기준의 정확한 이해 및 준수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는 시험·검사기관의 지정관 관련된 환경분야 개별법령에서는 법령을 포함한 관련규정의 준 수,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시험·검사기관의 경영자가 시설·장비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하여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시험담당자들이 내·외부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개개인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지원(과제번호: NIER- 2024-01-03-001)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진들은 국립환경 과학원의 지원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Table 1.
Evaluation field and number of detailed evaluation items
구분 |
경영요건(10개 분야)
|
분야 |
조직 |
품질시스템 |
문서관리 |
시험의뢰 및 계약시의 검토 |
시험의 위탁 |
서비스 및 물품구매 |
고객에대한 서비스 |
부적합업 무관리 및 보완조치 |
기록관리 |
내부정도 관리 평가 |
평가항(갯수) |
9 |
9 |
9 |
3 |
2 |
3 |
2 |
2 |
7 |
4 |
|
기술요건(9개 분야)
|
분야
|
직원
|
시설 및 환경조건
|
시험방법
|
시험장비 및 표준물질
|
시료채취
|
시료관리
|
시험결과의 보증
|
결과보고
|
시험성적서의 리스크 관리
|
평가항(갯수) |
8 |
7 |
7 |
6 |
2 |
5 |
2 |
4 |
5 |
Table 2.
Key points in the organizational field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조직 |
시험담당자, 정도관리 담당직원, 기술책임자 및 품질책임자 등 시험 ·검사 업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직원의 책임 · 권한에 대한 업무분장의 적절성 |
44 |
임시 또는 이동시설에 대한 정도관리 규정은 있으며,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는지 여부 |
36 |
시험담당자, 정도관리 담당직원, 기술책임자 및 품질책임자 등 시험 ·검사 업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직원의 책임 · 권한 · 상호관계에 대한 업무분장의 유무 |
15 |
임명된 품질 · 기술 책임자의 적격성 |
15 |
해당기관이 모조직의 일부인 경우, 시험 ·검사 활동에 참여 또는 영향을 미치는 모 조직 내 주요 직원의 책임사항에 대한 규정의 적절성 |
4 |
Table 3.
Key points in the quality system field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품질시스템 |
품질문서에 대한 관련 직원의 충분한 이해 |
47 |
예상치 못한 업무량 증가에 대한 대책의 수립 |
38 |
관련 직원이 품질문서를 규정대로 실행하고 기록을 보유하는지 여부 |
28 |
품질문서들의 체계를 규정하고, 품질문서를 관리하는 절차 수립 및 유지 여부 |
22 |
품질문서들이 최고경영자의 권한 하에 발행되고 있는지 여부 |
12 |
Table 4.
Key points in the document management field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문서관리 |
품질시스템 문서는 발행일자, 개정번호, 페이지 번호 매김, 총 페이지 수 및 발행기관(발행인) 등의표시여부 |
23 |
전자 문서에 대한 변경 및 통제절차의 수립 및 실행 여부 |
22 |
문서의 기존내용과 변경내용의 식별의 용이성 |
20 |
문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주기적 검토의 명문화 및 적절성 |
19 |
문서의 제 ·개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관리대장 또는 유사한 문서관리 절차의 보유 여부 |
18 |
Table 5.
Key points in the records management field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기록관리 |
전자기록을 포함한 기록 보안 절차의 적절성 |
20 |
컴퓨터의 원본 데이터의 손실 방지 및 변경 방지 조치 확립 여부 |
18 |
기록 수정 방법의 적절성 및 수정인의 서명 여부 |
15 |
전자기록을 포함한 기록 보안 절차의 수립 |
12 |
품질기록 및 기술기록의 보유 ·확인 ·수집 ·색인 ·접근 ·분류 ·보관 ·유지 및 폐기 등에 대한 절차를 수립 및 이행 |
10 |
Table 6.
Key points in the employee field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직원 |
신규인력, 시험 항목이 변경된 인력 등의 능력평가를 위한 평가내용 ·절차 ·판정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이행여부 |
34 |
자체 숙련도 시험 실시에 대한 방침 ·절차 ·평가기준의 수립 및 실행 여부 |
31 |
직원수 대비 과도한 업무량에 대한 방침 및 실행 여부 |
29 |
직원 교육, 훈련 및 기술에 대한 방침 및 계획 수립 등의 보유 및 실행 여부 |
23 |
직원에 대한 시험·검사 업무 능력에 대한 주기적 검증을 위하여 표준물질(용액) 등의 시험을 통한 정밀도 및 정확도 확인 계획 수립 및 시행 여부 |
17 |
Table 7.
Key points in the field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시설 및 환경조건 |
청결 유지 등 시험실 관리의 적절성 |
31 |
교차오염(cross contamination) 등의 방지를 위한 조치 |
30 |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험실 시설, 환경조건 및 관리방안 등의 기술적 요구사항들의 문서화 및 적절성 |
22 |
시료접수, 시료보관, 시약보관, 폐기물처리 및 보관, 시험 ·검사결과처리 및 보관 등에 필요한 작업공간 보유 여부 |
16 |
해당 시험실 이외의 장소에서 시료 채취, 현장분석 등의 시험업무가 이루어질 경우에 대한 문서화 및 실행의 적절성 |
14 |
Table 8.
Key points in the testing methods field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시험방법 |
인력 변경 시 사전 시험방법 운영 능력 확인 절차 ·평가기준 등에 대한 규정 수립의 적절성 |
33 |
장비, 시설 변경 시 시험방법 운영 능력 확인절차 ·평가기준 등에 대한 규정 수립의 적절성 |
33 |
인력 변경 시 사전 시험방법 운영 능력 확인의 이행 및 적절성 |
29 |
장비, 시설 변경 시 사전 시험방법 운영 능력 확인의 이행 및 적절성 |
26 |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품질지침서 또는 기술문서의 보유 여부 |
8 |
Table 9.
Key points in the field of the evaluation of testing equipment and reference materials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시험장비 및 표준물질 |
장비관리대장(기기의 오작동ㆍ고장ㆍ수리 및 교정에 관한 기록) 보유 및 장비점검 및 결함 장비에 대한 관리절차의 적절성 |
34 |
표준물질의 안전한 취급ㆍ운반ㆍ보관 및 사용 등에 대한 관리절차를 수립 및 이행 |
27 |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시험장비 중 교정 대상 장비에 대한 라벨 부착 및 주기적 교정계획 수립 및 이행 여부 |
26 |
제조된 표준용액 용기에 용도, 제조일자, 유효기간 등 필요한 사항을 표시하고 있는가? |
25 |
교정 대상 장비에 대한 라벨 부착 및 관리기록 등의 적정 여부 |
13 |
Table 10.
Key points in the sample management field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시료관리 |
시료 식별에 필요한 시료확인 체계 보유 및 시료접수대장의 적정성 |
23 |
시료접수 기록부의 적정성 여부 |
13 |
시료의 운송 ·수령 ·취급 ·보호 ·보관 ·보류 및 폐기에 관한 절차의 보유 및 이행 |
11 |
시료의 상태가 분석에 적합하지 않거나 일반적으로 시험방법에서 명시된 형상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경우의 부적합한 시료에 대한 방침 보유 및 이행 기록 |
8 |
시료가 특정 환경조건하에서 보관되어야 하는 경우 그 이행여부 |
7 |
Table 11.
Key points in the field of risk management of t est reports
분야 |
평가항목 |
미흡률(%) |
시험성적서의 리스크 관리 |
시험 ·검사기관의 기술인력과 장비를 고려한 1일 측정 및 분석업무량의 점검기록 여부 |
48 |
매질별 주요시약 구매실적,사용량과 성적서 발급건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건수가 발급되었는지 여부 |
22 |
해당지자체에 통보한 측정대행 계약사실 통보서에 근거해 측정 및 분석 업무량이 적정한지 여부 |
13 |
참고문헌
1. 환경부,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2022.
2.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시험·검사기관 정도관리 운영 등에 관한 규정", 2023.
3.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IEC 17043: General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e of competence of proficiency testing providers", 2023, 1-5.
4.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IEC 17025: General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e of testing and calibration laboratories", 2017, 1-30.
5. National environmental laboratory accreditation program, 2016, 1-36
6. Canadian association for laboratory accreditation, "A06-CALA Accreditation program, Policies and Procedures", 2019.
7. The united kingdom accreditation service, "UKAS accreditation; a tool to deliver effective local authority services", 2016, 10-20.
8. J. Y. Hwang, H. Lee, S. H. Go, S. Jeon, J. Kim, J. J. Lee, K. R. Lee, C. H. Park, H. M. Chung, and J. W. Choi,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on-sit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testing and inspection laboratories”,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2020, 23, 118-124.
9. 환경부, "환경분야 시험 검사 업무처리 규정",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