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 M. Dekoev, Z. Komy, F. Araujo, and R. Van Grieken, “Chemical Composition of Sediments, Suspended matter, River water and Ground water of the Nile (Aswan-Sohag traverse)”,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1997, 20, 195-210.
2. 공태 나, 은수 김, 종근 김, 경태 김, 정무 이, and 의열 김, “시화호 코어 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특성 및 오염 평가”,
Ocean and polar research,
2013, 35, 69-83.
3. 상은 신, 석태 윤, 영구 고, and 강호 오, “영산강 유역 하상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환경변화”, 한국지형학회지, 2015, 22, 31-42.
4. 주용 김, 고요나 은, 영구 고, 석태 윤, 강호 오, and 동주 김, “전남 나주-영암지역의 영산강 하류 시추퇴적물의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001, 22, 301-316.
5. 선구 박, 기봉 송, and 기환 조, “호소 내 퇴적물의 중금속 분석 비교”, 한국분석과학회지, 2001, 4, 173-179.
6. 준기 이, 석구 김, 재홍 송, and 태윤 이, “부산시 도심하천 퇴적물의 유기물 및 중금속 오염도 평가”, 한국지반환경공학회지, 2010, 11, 35-43.
7. 도희 김, and 현호 엄, “광양, 목포, 신안 주변해역 해저퇴적물의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013, 19, 303-308.
8. 준배 이, 선화 홍, 동호 김, 인애 허, 유정 허, 종범 간, 다연 오, 교영 김, 영준 이, 수형 이, and 호상 신, “금강수계 퇴적물 금속류 분석 및 상관성 조사”, 한국분석과학회지, 2014, 27, 11-21.
9. 영충 김, 규태 서, 병현 문, and 택순 이, “진양호 유입수의 홍수기 오염부하 및 수질 특성”, 환경연구논문집, 2001, 1, 110-114.
10. 재기 신, 옥희 이, and 경제 조, “진양호와 남강의 수질에 대한 Algal Growth Potential Test(AGPT)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지, 2003, 36, 57-65.
11. 민원 장, 현경 조, and 상민 김, “Landsat 8호 영상을 이용한 진양호의 클로로필 a 농도의 공간분포와 영양상태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019, 35, 1-8.
12. 용훈 탁, 영도 김, 선아 정, and 세웅 정, “CE-QUAL-W2를 이용한 진양호 취수량 변화에 따른 수질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5, 48, 857-868.
13. 동현 김, and 상민 김, “남강댐 상류 소유역의 유출량 추정을 위한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16, 58, 9-19.
14. 성민 김, 성재 김, and 상민 김, “남강댐유역 내 주요 하천관측지점의 홍수유출량 추정을 위한 단위도 모형 비교연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2012, 54, 65-74.
15. 민준 김, 철우 이, and 재화 진, “Microtrac S3500 Size Analyzer를 이용한 퇴적물 입도분석”,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7, 57.
16.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하천호소 등 퇴적물 공정 시험 기준(환경부고시 제2012-99호), 2012.
17. L. Wang, J. Xia, J. Yu, L. Yang, C. Zhan, Y. Qiao, and H. Lu, “Spatial variation, Pollution assessment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Major Nutrients in Surface Sediments of Nansi Lake, China”,
Water,
2017, 9, 1-12.
18. H. Yu, W. Zhang, S. Lu, S. Yan, R. Hu, and L. Chen,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nutrients in Lake Hongze and their their pollution status evaluation”, Environmental Science, 2010, 31, 961-968.
19. D. L. Tomlinson, J. G. Wilson, C. R. Harris, and D. W. Jeffrey, “Problems in the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Estuaries and the Formation Pollution Index”,
Helgol Mar Res,
1980, 33, 566-575.
20. 국립환경과학원, “하천퇴적물 배경농도 산정 연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1, 3-138.
21. 국립환경과학원, “하천 · 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국립환경과학원 예규, 2015, (687.
22. 정민 서, 영훈 김, 혁진 권, and 정진 김, “안동댐과 임하댐 퇴적물 및 유입 부유물질의 중금속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2019, 32, 103-111.
23. 신 김, 정민 안, 혜윤 이, 범 김, 수정 박, 용석 김, and 득석 양, “낙동강 본류 표층 퇴적물 내 미량금속 오염도 평가”, 한 국환경분석학회지, 2019, 22, 10-21.
24. 신 김, 주언 김, 권철 이, 규열 이, 혜린 전, 재정 유, 인정 이, and 정민 안, “낙동강 수계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와 오염도”, 한국환경과학회지, 2015, 24, 969-980.
25. A. J. Horowitz, A primer on sediment-trace element chemistry, Lewis publish, Chelsea, 1991, 1-136.
26. 신 김, 정민 안, 강영 정, 권철 이, 헌각 권, 동석 신, and 득석 양, “하천 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낙동강 수계 표층 퇴적물을 대상으로)”, 한국물환경학회지, 2017, 33, 460-173.
27. 보미 이, 기선 성, 국희 김, 권영 문, 명철 신, 정기 홍, 갑순 김, 순주 유, 인애 허, and 혜란 노, “북한강 수계 호소퇴적물 오염도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019, 35, 105-114.
28. 경용 신, and 상호 전, “팔당호 표층 퇴적물에 함유된 중금속의 입도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2, 38, 424-430.